728x90 반응형 전체 글153 SOP 란? SOP: Surface Operator 3D오브젝트의 형태를 가공할때. point(점), edge(선), primitive(면)등과 관련있다. Geometry 과 Volume를 다룰때 사용한다. vertex는 primitive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primitive를 구성하기 위한 정점이다. SOP 노드들은 Geometry필드에서 볼 수 있다. 변수(Variation) 변수는 달러+대문자 영어 형태로 표현된다. $F :프레임 번호 $T : 현재 타임(실수) $PT : 포인트 번호 $TX : x 좌표 (+TY, TZ) $PR : 면 개수 $NPT : 포인드 개수 $NX : 노멀 X (+ NY, NZ) $LIFE : life $BBX: bounsing box X, (+ BBY, BBZ) $YMIN: geo의.. IT/이펙트 2021. 11. 28. [로스트아크]마법이라는 것은 / 베른남부 숨겨진이야기 / 매력+1 1. 칸다리아 영지 물약상인 근처 2. 벨리온 유적지 알베르토의 성 앞 근처에서 거대한 전쟁 준비 숨겨진 이야기를 얻을 수 있다. 3. 칸다리아 영지 웨일스나일 마을 집안 2층 완료를 하면 매력+1을 얻을 수 있다. 게임/로스트아크 2021. 10. 8. [용어정리]서브 서피스 스캐터링(Subsurface scattering, SSS) 1. 서브서피스 스캐터링[Subsurface scattering, SSS], 서브서피스 라이트 트랜스포트[subsurface light transport, SSLT] 빛이 반투명한 물체 표면에 투과되어 내부로 퍼져나간 후 다른 위치로 빠져나가는 현상이다. 이 빛은 일반적으로 표면을 뚫고 지나가며 물질 내의 불규칙한 각도로 수차례 반사되고, 그 뒤 그 각도 외의 각도에서 물질 밖으로 통과하여 표면에 직접 반사된 것처럼 된다.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에 중요하며, 대리암, 피부, 잎, 왁스와 같은 물질의 사실적인 렌더링에 필수적이다. CG 작업 등 비-실시간 렌더링에서는 유체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적용하는 경우도 많다. 오늘날 실시간 컴퓨터 그래픽스에 쓰이는 대부분의 물질들은 물체 표면에서의 빛의 상호작용만을.. IT/이펙트 2021. 10. 4. [3dmax]이미지 불러오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chika0123&logNo=222093393756 [3D맥스]이미지 불러오기(Mapping) 이미지 불러오기(Mapping) 맥스에서 이미지를 불러올 땐, 면이나 입체를 만든 뒤 이미지를 씌워서 불러 올... blog.naver.com IT/이펙트 2021. 7. 15. [언리얼] 머티리얼 노드 활용 - 움직이는 머티리얼 만들기 https://rgy0409.tistory.com/882 [언리얼엔진4 강좌] 움직이는 머티리얼 만들기 - TextCoord, Panner 활용 [언리얼엔진4 강좌] 움직이는 머티리얼 만들기 - TextCoord, Panner 활용 지난시간에 맥스에서 하나의 FBX 파일 안에 두개의 UV언랩을 만든 과정을 보여드린 적이 있다. 이제 두개의 채널을 어떤식으로 rgy0409.tistory.com IT/이펙트 2021. 7. 11. [품질관리] 8D 프로세스 - #3 2D(문제 정의) 작성방법 2D 문제 정의 Who / which - 문제의 책임이 있는 담당이나 관련 공정 What - 무슨 불량인지? Where - 어느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했고 유출이 되었는지? How many - 얼마나 많은 불랴이 확인되었는지? How much - 불량율은 얼마나 되는지? How big - 불량의 수준은 얼마나 큰지? When - 언제 불량이 발생했는지? 2D에서 자주 확인되는 오류사항 1. 이전 문제에 대한 부적절한 정보 2. 양품 / 불량 사진 누락 3. 양품 / 불량 사진 비교 어려움 4. 고객 불량 접수 일자 누락 5. 측정 및 생산 이력누락 6. 불량 식별 후 수량확인 누락 7. 문제가 발생한 위치 / 누구 / 언제 / 무엇 /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 누락 8. 통계자료의 부적절한 수집 및 .. Factory/품질관리 2021. 5. 16. [품질관리] 8D 프로세스 - #2 1D(팀 구성) 작성방법 1D 팀 구성 품질부서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연관 부서들이 모여서 팀을 구성한다. 팀 구성시 자주 확인되는 오류사항 - 세부사항 누락, 불량명 오기입,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멤버 누락 8D Report 구성요소 - 불량명 불량명의 두가지 구분 1. 고객 불만 사항 서신의 문제 제목(3D 제출시) 2. 협력사 내부 불량 이름(불량제품 접수 후)은 협력사 불량 코드와 동일 -> 데이터 분석 또는 향후 문제이력 관리용이 - 처음 작성일자 고객으로 부터 불량발생 정보 받은 일자 - 수정 일자 8D 업데이트 일자 품질쉐프옥스 님의 영상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youtu.be/OjNxEWVb4lE Factory/품질관리 2021. 5. 16. [품질관리] 8D 프로세스 - #1 8D 란? 8D 왜 배워야하는가? 1. 고객 불만사항 관리의 체계적인 방식 채택 2. 봉쇄 조치의 중요성 3. 고객요구사항 식별 4. 효과적인 근본 원인 분석 5. 개선 조치의 수평 전개 8D 탄생배경 미 국방부에서 1974년 13페이지분량 MIL-STD 1520 부적합 물질에 대한 시정 조치 및 처리 시스템을 발표하면서 만들어졌다. 포드사에서 1987년 자동차 업계에 60페이지 분량의 8D 프로세스를 전파하였다. 8D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화된 접근법입니다. 영구적인 시정 조치는 체계적으로 근본 원인 확인, 적절한 유효성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을 기반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8D 프로세스로 문서화가 되면 향후 문제 에측 및 분석 및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8D 프로세스? 1D - 팀구성 2D .. Factory/품질관리 2021. 5. 16. 이전 1 ··· 3 4 5 6 7 8 9 ··· 20 다음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