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할 수 있는 메모리 추가에서 그래픽카드의 교체 등을 하기 위해, 또는 좋아하는 게임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을지 확인하려면 내 컴퓨터 사양보는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윈도우10의 설정 보는법만 알아도 대략적인 내 컴퓨터 사양 보기가 가능합니다.
먼저 왼쪽 아래에 있는 시작 아이콘을 누른 뒤 바로 위쪽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의 시스템 항목으로 들어가 가장 아래쪽에 있는 정보로 이동하면 프로세서는 Intel Core i7-4790, 설치된 RAM은 16GB이며, Windows 사양은 윈도우10 프로에 최신 업데이트인 1903까지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단의 검색창에 DXDIAG 명령어를 입력하여 DirectX 진단도구에서 시스템 정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노트북의 경우에는 제조사와 메인보드까지 표시되기도 하지만, 조립한 컴퓨터에서는 위와 같이 To Be Filleded By OEM이라고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메인보드나 메모리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면, CPU-Z를 설치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또는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시스템 관리 분야에서도 상당히 인기가 많은 프로그램이며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프리웨어이니 믿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CPU-Z를 실행하면 첫 번째 항목은 프로세서입니다.
윈도우10의 설정에서 본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내용이 빼곡하게 들어있는데, 이름은 Intel Core i7 4790에 코드네임이 하스웰이며, 4코어 8쓰레드에 소켓 LGA 1150과 호환이 된다는 정도만 알고 있어도 됩니다.
혹시 CPU만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면 소켓이 일치하는지 비교하면 실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도 확인이 가능한데 ASRock Z97M OC Formula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메모리는 컴퓨터 사양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부품이며 윈도우가 조금 느려진 것 같다면 업그레이드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Memory Type과 Max Bandwidth, 몇 개의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지만 체크하면 추가를 할지 더 용량이 높은 램으로 교체를 할지 결정할 수 있으니 실수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위 이미지의 경우 8192MBytes 즉 8GB 용량에 DDR3 PC3-12800(800MHz) 삼성 제품이 듀얼로 탑재되어 있으며, 총 슬롯은 4개이니 두 개만 더 추가해 주면 최대 32GB까지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래픽카드는 NVIDIA GeForce GTX 1060 3GB가 탑재되어 있으며, ASUS 브랜드라는 것까지 확인이 됩니다.
지금까지 CPU-Z를 통해 프로세서와 메모리,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를 어떻게 확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추가적으로 파워 용량 정도만 직접 살펴보면 직접 업그레이드를 시도해 보거나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기에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윈도우10의 설정이나 명령어로도 간략하게 체크할 수도 있지만, CPU-Z와 같은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사양보는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아하는 게임이나 업무를 위한 전용 툴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데도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프리웨어로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믿고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니 기억해 두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IT >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Modeler 대체 무료 프로그램 (0) | 2022.11.20 |
---|---|
현실 캡쳐(RealityCapture) 대체 무료 프로그램 (0) | 2022.11.19 |
녹스(NoxPlayer) 기기가 이 버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안드로이드 버전 바꾸는 방법 (0) | 2020.12.12 |
윈도우10 이미지백업 만들기 (언제든 지금 상태로 복원할 수 있도록 백업하기) (0) | 2020.12.10 |
윈도우 포맷을 위한 바이오스 부팅순서 변경 방법 (0) | 2020.12.10 |
댓글